돌잔치 축의금 액수 얼마가 적당할까?

돌잔치 축의금 액수

사적모임 예외로 분류된 돌잔치, 그렇다보니 소규모 돌잔치부터 지금은 사회적거리두기가 더 완화되어 더 많은 사람들이 돌잔치를 할 수 있는 상황이다 보니 경조사에 초대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돌잔치 축의금 액수 얼마가 적당할지 고민인 경우가 있습니다. 본인의 상황에 맞게 돌잔치 축의금 액수 정하면 되겠지만 일반적으로 아래의 기준으로 정한다고 합니다.

돌잔치 축의금 액수

 

관계별 돌잔치 축의금 액수

직계가족

코로나로 가족끼리만 소규모로 돌잔치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양가 부모님과 이모, 고모, 삼촌, 작은아버지 정도의 3촌 내외만 초대한 경우 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족들의 축의금은 집안 형편을 서로 잘 알기 때문에 최소 10만원부터 50만원, 100만원까지 형편에 맞게 하는 것 같습니다.

 

친척

4촌 이상의 친척들은 큰일(결혼식, 장례식) 이 있을때 왕래를 하지 1년에 만나는 경우가 드문 경우가 대부분이라 생각 합니다. 친척들의 돌잔치 축의금 액수 책정은 대부분 직계가족보다는 적은 50만원 이내로 하는 편입니다. 10만원부터 50만원까지 많이들 하는 편입니다.

 

친구, 지인

직계가족, 친척들과는 달리 친구에게 받는 일종의 축의금은 그 친구의 경조사때 다시 내가 해야하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전 히스토리가 있다면 참고 하면 가장 좋고 그렇지 않은 경우라도 10만원을 넘지 않는 선으로 금액이 책정 됩니다. 가장 많이 하는 금액은 5만원으로 적지도 많지도 않은 적당한 금액이라고 생각 합니다.

 

회사동료, 아는 지인

가족이나 친척 또는 친구 사이가 아닌 회사동료나 아는 지인으로 돌잔치에 초대를 받는 경우 축의금으로 큰 금액을 내기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이 경우 평균 3만원~5만원 내외로 내는 경우가 많으며 회사, 직장 동료들은 회사내에서 회비에서 공동으로 내거나 얼마씩 각출해서 함께 전달하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재미있는게 5만원 신권이 발행되기 전에는 1만원 권으로 봉투에 넣었기 때문에 3만원을 많이 했는데 5만원 지폐가 생긴 이후로는 대부분 5만원 1장으로 많이 하는 편입니다.

 

마무리

돌잔치 축의금 액수

돌잔치 축의금 액수 정하기가 참 어려운 것 같아요. 돌잔치만 알아봤지만 결혼식, 장례식장 모두 같은 경우라고 생각 합니다. 나를 기준으로 어떤 관계의 사람인지에 따라 금액을 정하고 평균적으로 많이 하는 금액으로 축의금을 정하는게 가장 문안하다고 생각 합니다.

 

함께보면 유용한 글

⇒ 메리어트호텔 돌잔치 예약 전화번호 공유 합니다

⇒ 코로나 돌잔치인원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단축주소: https://zeze.kr/BpRh
일부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와 같은 제휴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3 thoughts on “돌잔치 축의금 액수 얼마가 적당할까?”

Leave a Comment